지난 9월 12일 오후 7시 44분에 규모 5.1, 오후 8시 32분에 규모 5.8, 9월 19일에는 오후 8시 33분 규모 4.5의 지진이 경주에서 발생했다. 또한 9월 25일 기준 총 400여 차례 이상의 여진이 발생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계속되는 여진 발생에 사람들은 불안감에 휩싸였고, 비상시를 대비한 배낭을 미리 준비해두기도 하는 모습이 보였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주변국보다 상대적으로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라고 여겨져 왔다. 그렇기에 이번 경주 지진은 더 큰 혼란을 야기했다. 지진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한 지진 대응 국민행동 매뉴얼은 국민재난안전포털에 게시돼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홍보의 부족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 매뉴얼이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있다.

또한 비상시를 대비한 대피소도 부족하고 그마저도 제대로 공지되지 않아 지진이 나더라도 대피할 수 없는 상황이 닥치게 된다. 지진이 일어났을 때 넓은 공터나 학교 운동장으로 대피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알고 있더라도, 보통 밤에는 보안상의 문제로 문을 잠가두는 학교가 많아 운동장으로 대피하는 것도 어려운 형편이다.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훨씬 지진이 자주 발생하기에 내진설계도 잘 되어있는 편이고, 지진이 발생했을 때 대피할 수 있는 대피소도 잘 마련돼 있는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지진 대피소조차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은 상황이다. 12년 전 이미 사라진 은행이 대피소로 지정돼 있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경주 지진 때, 지진 발생 후 긴급재난문자를 대다수의 시민들이 받지 못하거나 늦게 받은 사실도 논란이 됐다. 이는 지금까지 지진 관련 긴급재난문자를 기상청에서 바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국민안전처를 거쳐 보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절차상의 문제로 시간이 더 걸려 시민들이 바로 문자를 받지 못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국민안전처는 지난 23일 지진대응체계 관계부처 및 지자체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각 기관별로 지진대책에 대한 논의를 하기 위해 모인 이 자리에서 국민안전처는 “앞으로 긴급재난문자를 기상청이 지진 감지 후 바로 보내도록 할 것”을 밝혔다.

국민안전처 김희겸 재난관리실장은 “이번 지진을 계기로 체계적인 지진대책을 추진하여 실질적으로 과제가 이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고 지진방재 개선대책을 전반적으로 재점검하여 개선·보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교원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