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째 총학생회 안 세워져, 사업연계 지속 우려

 

발행 : 2014. 3. 31.

지난 3월 3일부터 16일까지 진행된 28대 총학생회(이하 총학) 보궐선거 입후보자 등록기간에 후보자가 한 명도 입후보하지 않아, 24일로 예정됐던 총학 보궐선거 투표가 무산됐다. 총학이 세워지지 않은 건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있는 일이며, 2년 동안 총학이 부재한 것은 개교 이래로 처음 있는 일이다. 2013학년도에는 확대운영위원회(이하 확운위) 체제가 총학을 대신한 것과 달리, 2014학년도는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가 총학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 총학을 대신할 비대위 체제
총학생회칙 제25조 15항 “총학생회장단의 부재 시 확운위는 총학생회장단의 모든 권한을 대행한다”에 따라 작년 11월 28대 총학 선거가 무산되자, 확운위는 학생대표 권한을 양도받았다. 이에 확운위는 2013년 12월부터 총학 보궐선거 전까지 비대위 체제로 활동하기로 의결했다. 하지만 총학 보궐선거까지 무산됨에 따라 확운위는 새로운 비대위원장을 선출해 비대위 체제를 재정비했다. 작년에 비대위원장이 선출되지 않아 확운위가 총학의 역할을 대신했던 것과는 다르게 이번에는 이슬기(교육학·13) 학우가 비대위원장을 자원하며 확운위원들에게 거수로 인준을 받고 새 비대위원장으로 선출됐다. 이에 이슬기 비대위원장은 “확운위 체제로 간다면 각 과에 업무를 분할시킬 수 있어 편하겠지만, 감시와 감사기능이 많이 떨어진다”며 “비대위 체제는 확운위가 산하기구인 비대위에 대한 감시, 감사, 심의 기능은 지킬 수 있으므로 부담을 안더라도 비대위 체제로 가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차후에 있을 학생관련 활동을 모두 담당할 예정이다. 총학이 해왔던 졸업앨범준비위원회를 구성하여 졸업앨범 촬영을 준비하고, 대동제준비위원회를 구성하여 축제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다른 학교 총학에서 진행하는 야식 이벤트나 시험기간 간식나눔 등의 이벤트를 참고하여 소규모 사업들을 진행할 계획 중에 있다. 이슬기 비대위원장은 “총학생회가 없더라도 총학생회에 준할 정도로, 학부생들의 권익을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며 “이를 위해 기존보다 학우들의 의견을 더 많이 수렴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 총학 부재의 문제점
총학은 학생정치에 소신을 둔 사람들이 자원하는 자리인 반면, 확운위원들은 학과의 회장단으로 본인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학교 행사를 떠맡은 경우가 많다. 이에 전년도 확운위 부위원장 문성식(국어교육·11) 학우는 “대행 기구가 최소한의 필요한 일만 하면서 규모가 점점 작아지고 소극적 집단이 되는 경향이 반복되고 있다”며 “대행기구도 의욕보다는 어쩔 수 없는 책임감으로 굴러가는 집단이 되어버린다”고 말했다.
또한, 확운위나 비대위 모두 학생들에 의해 선출된 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대표성 문제를 안고 있다. 방학 중 비대위원장을 맡았던 최승재(컴퓨터교육·10) 학우는 “총학생회보다 업무를 진행하는 데에 있어서 거쳐야 할 절차가 더 있는 편이다”라며 “대표성이 어중간해서 실질적으로 학내 업무 외에는 대외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의견을 내보였다. 한국교원대신문 350호에 따르면 안샛별 전 총학생회장도 “총학생회가 없어지면 1~2년 안에 표면적으로는 이벤트성 사업들의 부재 정도밖에 나타나지 않겠지만, 학생대표와 학교의 관계에서 학교 측의 의견에 더 힘이 실리게 될 것”이라며 대표성 문제가 가질 위험성에 대해 지적했다.

◇ 학우들의 반응
총학이 세워지지 않은 지 2년째지만 학우들은 확운위 또는 비대위 체제가 어느 정도 총학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기 때문에 대체로 문제가 없다는 반응이다. 이용우(지구과학교육·13) 학우는 “확운위 체제에서 생기는 문제라면 학생을 대표하는 기구의 부재로 인한 권익 감소 정도 뿐이 아닐까 한다”고 의견을 드러냈다. 하지만 14학번의 경우는 총학이 세워지지 않은 사실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김수현(체육교육·14) 학우는 “총학생회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모르고, 그 필요 여부 또한 모르겠다”고 말했다.
총학이 세워지지 않아 학생대표의 자리를 계속 비워둘 경우, 문제가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김동현(역사교육·10) 학우는 “비대위의 경우는 자발적으로 출마한 것 이 아니기 때문에 업무에 대한 책임의식이 낮아지고, 업무처리의 질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지속적인 비대위 체제를 염려했다.

저작권자 © 한국교원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