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24일 교육부에서 시행한 우리학교 종합감사 결과가 공개됐다. 2014년 10월 13일부터 24일까지 총 10일에 걸쳐 진행된 이번 감사의 결과는 지난 1월 20일부터 한 달간재심과정을 거친 후 발표됐다. 감사 결과에서 공개된 지적건수는 내용별로 ▲인사·복무 9건 ▲예산·회계·연구비 14건 ▲입시·학사 8건 ▲시설·기자재 3건으로 총 34건이다.
종합 감사 지적내용 중 가장 논란이 됐던 문제는 연구비 및 연구윤리 관련 사항이다. 액수와 규모의 측면에서 문제가 됐을 뿐 아니라 34명의 교수가 지적대상에 오르면서 문제시됐다. 예상·회계·연구비 14건 중 연구비 및 연구윤리 관련 3건이 크게 문제가 됐다.
우리학교 교수 4명은 자신들이 지도하는 제자의 석사 논문을 요약·정리해 제1저자 혹은 단독저자로 학술지에 등재해 논란이 됐다. 또한 교수 22인은 자신들이 지도한 제자 석사 논문을 요약·정리해 교내 연구비를 지원받는 연구과제의 결과물로 제출했다. 교수 8명은 타 대학 교수로 재직하는 자신의 친인척을 연구보조원으로 참여시키는 과정에서 공무원행동강령에 따른 행정적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종합감사 이후 연구윤리 및 연구비 관련 규정을 위반한 교수들에 대해서는 경중에 따라 징계가 내려졌다. 부당 지급된 모든 연구비 및 활동경비에 대해서는 환수 조치가 내려졌다. 환수된 연구비는 관련회계에 세입조치 된다.
교수들의 연구비 지급을 담당하는 산학협력단은 이번 감사 이후 KNUE 학술연구비 제도를 폐지했다. KNUE 학술연구비 제도는 연구계획서에 대해서 연구비를 지원하고 사후에 결과보고서와 결과물을 받는 형식으로 운영됐다. 하지만 이 제도는 절차상 연구원이 기존의 논문을 재사용하여 연구비를 부당 취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어 이번 감사를 계기로 폐지됐다. 대신 산학협력단은 연구비를 연구결과물에 대해 지급하는 연구장려금 형태로 전환했다.
이번 교육부 감사에 대해 김종우(불어교육) 교수는 “연구윤리는 학문과 관련해 복잡하게 얽혀있는 문제이다”라며 “따라서 보다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논의를 통해 사회적인 용인과 동시에 학문적으로도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교수 관련 건 이외의 감사 지적 내용에 대해서도 교육부의 처분내용에 따라 조치가 이뤄졌다. 총무과는 지적사항과 관련된 각 부서에 조치를 지시했고 경중에 따라 직원에 대한 경고 및 주의 조치가 이루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