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만 부를 수 있는 공간 실종 속, 가수들도 예능으로 음악 하는 시대
2007년에 MBC에서는 ‘쇼바이벌’이라는 프로그램을 방영했었다. ‘신인 발굴’을 목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신인 내지는 중고신인 등을 출연시켜 그 중 최고의 신인을 가리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서바이벌 형식으로 가수들 끼리 무대 내에서 경쟁을 벌이고 청중들의 투표로 최고를 선정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결국 시청률 부진으로 조기 종영하고 말았다. 방영 시간대도 문제였지만 출연하는 가수들 대부분이 대중에 유명하지 않았으며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인디 출신들이 많아 대중들의 관심이 적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신인들이었고 주목받지 못했기 때문에 인기를 얻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서든 자신들을 표현해야 했으며 경쟁해야 했다. 그리고 수많은 가수들 가운데서 살아남아야 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유명세를 타거나 부활한 그룹들은 슈퍼키드, 8eight, V.O.S, 스윗소로우 등이 있다. 이러한 톡톡 튀고 개성 넘치는 자신만의 스타일을 보여주는 가수들을 보면서 시청자들은 유쾌하게 음악을 들었고 즐겼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이 종영된다고 했을 때 폐지 반대 운동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요즘 인터넷 상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있다. 바로 ‘서바이벌 - 나는 가수다’(이하 나는 가수다)이다. ‘나는 가수다’에서는 7명의 가수가 매주 다른 가수의 노래를 자신의 감성으로 재해석해 부르는 미션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투표를 진행하고 7위에 선정된 가수는 탈락, 그 자리에 새로운 가수가 들어오는 형식의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가수들끼리 경쟁을 하고 서바이벌 형식으로 탈락자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예전 ‘쇼바이벌’ 프로그램과 포맷이 비슷하다.
하지만 ‘나는 가수다’와 ‘쇼바이벌’이 다른 점이 있다. 우선 ‘나는 가수다’는 방송 시간대가 일요일 오후 황금시간대라는 점 그리고 ‘나는 가수다’에서는 신인가수가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나는 가수다’에서는 이소라, 박정현, 윤도현 등 이름만 들어도 누군지 알 수 있는 유명한 가수들이 등장한다. 그리고 그들은 음악을 통해 경쟁한다.
그런데 이런 서바이벌 식의 ‘나는 가수다’의 프로그램에 대해서 비판의 시선이 있다. 문화평론가 진중권은 트위터에서 “가창력으로 신인가수 뽑는 것도 아니고 이미 자기 세계를 가진 예술가들 데려다놓고 누굴 떨어뜨린다는 발상 자체가 난센스”라고 밝혔으며, 가수 조영남도 “가수들이 스스로 망가지고 있다. 누가 점수받으려고 기 쓰고 처절하게 노래하는 것을 보고 공연을 보러 가겠는가. 노래는 그렇게 하는 게 아니다. 가수의 노래를 점수로 매겨 떨어뜨리는 것은 예술에 대한 모독이다. 지금도 생각하면 가슴이 울렁거린다.”라고 말했다. 신인들도 아니고 무명 가수도 아닌 음악적으로 대중들의 많은 사랑을 받아온 유명한 가수들이 그것도 서로 다른 음악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서바이벌을 벌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얼마 전 ‘김정은의 초콜릿’이라는 프로그램이 폐지되었다. 이제 심야 음악프로그램은 ‘KBS 유희열의 스케치북’, ‘EBS 스페이스 공감’ 이외에는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게 되었다. 심야 음악프로그램은 일반적인 음악 프로그램과는 달리 다양한 장르의 가수들이 관객들과 소통하면서 자유롭게 노래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이렇듯 점점 가수들이 노래만 할 수 있는 ‘장소’조차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음악 프로그램에서는 아이돌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가수들이 ‘노래’ 하나로 성공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어떤 라디오 PD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가수다’에 나오는 가수들 노래? 라디오에서 만날 틀어주던 거다. 그런데 첨 듣는다는 듯 반응한다. 아무리 음악 프로에서 소개해도 반응 없던 곡들이 ‘1박2일’ ‘무한도전’에 한 번 삽입되면 음원 차트 1, 2위에 오르내린다.” 결국 대중들은 음악프로그램에서 음악을 찾아 듣기보다는 자주 볼 수 있는 매체에서 들리는 음악들을 흘려들을 뿐이다. 그래서 결국 유명 가수들 조차도 자신들의 노래를 알리기 위해서는 ‘쇼바이벌’에서의 무명 가수들이 했던 것처럼 자신들의 음악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는 예능 프로그램에 출현할 수밖에 없던 것이다.
‘쇼바이벌’이 폐지 반대 운동이 나올 수 있었던 이유는 소수의 시청자들이 무명 가수들의 ‘음악’을 더 듣고 싶어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는 가수다’의 요즘 ‘재도전’ 논란을 보면 대중들은 ‘나는 가수다’의 가수들의 ‘음악’을 듣기 보다는 어떤 가수의 ‘탈락’이 더 보고 싶었던 것처럼 보인다. 한사람이 탈락하는 서바이벌 게임에서 중요한 것은 어떤 사람이 더 잘했나 보다는 어떤 사람이 탈락했나 이기 때문이다. 결국 대중들이 예능 속에서 음악을 원하는 상황 가운데, 그것도 치열한 예능 서바이벌 현장 가운데에서 ‘재도전’은 대중들의 예능을 보고 싶은 마음을 충족시키지 못했나 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