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투표권 침해 가능성 있어
서울과 부산 등 전국의 학교들이 4·11 총선 당일을 껴서 수학여행을 떠난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이는 학생들에게 '투표하는 날은 놀러 가는 날'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가능성이 큰 데다 인솔교사들의 투표권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산시교육청에 따르면 11일과 수학여행이링 겹치는 학교는 3개 고교 1150명으로 파악됐다. 서울에서도 고교 4곳을 포함해 5개교가 총선을 끼고 수학여행을 갈 계획인 것으로 확인됐고, 경기도에서도 14개 학교가 비슷한 일정을 잡았다.
고교 수학여행은 한 학급 담임교사와 추가 인솔교사 2~3명이 동행하는 것이 관례라 학교마다 10명 이상 교사가 여행에 참가한다. 학교 관계자는 "이번 학기부터 주5일 수업제 시행으로 토요일 수업이 사라진 만큼 주중 수업 부담이 늘어 공휴일에 수학여행을 가게됐다"며 "지난에 하반기에 계획과 예약을 마쳐 변경이 어려웠다"고 밝혔다.
학교 측은 교사들이 미리 부재자 투표를 마치고 수학여행을 떠났고, 수련회에 참가하는 교사들은 투표에 지장이 없도록 조치를 취했다고 해명했지만 광주의 경우 수학여행을 떠나는 15명의 교사 중 6명은 해당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일부 중·고등학교에서는 11일 자율학습을 실시할 예정이라 감독을 해야하는 교사의 투표권 행사가 쉽지 않게 됐다.
일각에서는 총선일 수학여행을 계획한 것이 이치에 맞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교조는 성명을 내어 '투표 방해 행위'라고 규정했다. 전교조 인천지부는 성명에서 "학교는 투표일을 법정 공휴일로 잡은 취지에 맞춰 솔선하여 투표할 것을 독려함이 마땅하다"라면서 "하지만 일부학교에서 수학여행을 가거나, 학교운영위원 야유회, 학생들을 등교시커 자율학습을 시키는 등 상식 이하의 일들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