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일제고시 폐지’를 내걸었음에도, 지난 7일 12개
시·도 교육청에서는 일제고사 방식의 진단평가를 시행했다. 이에 전교조를 비롯한 진보교육단체에서는 기자회견 등을 통해 진단평가를 비롯한 일제고사 폐지를 촉구 중이다.

이달 7일 서울, 경기, 강원, 광주, 전북을 제외한 12개 시·도 교육청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2013학년도 기초학습 및 교과학습 진단평가’를 시행했다. 이는 6월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12월의 학력평가와 함께 일제고사라 불린다.

과거 학업성취도평가는 2008년 이전까지는 초등학교 3·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의 1~3%가량을 표본으로 골라 시행하는, 교육과정 수준과 학생 성취도를 점검하는 표집형 시험이었다. 하지만 지난 2008년 표집 평가로 시행되던 학업성취도평가를 국가 수준의 전집형으로 바꾸며 일제고사를 실시하게 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대선 공약으로 ‘일제고사 폐지’를 주장한 바 있다.

이번 진단평가의 시행에 관련해, 지난 7일 기자회견을 연 충북교육연대(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충북지부 외 23개 단체)의 박을석 집행위원장은 “충북교육청은 과거 진단평가 결과에 따라 미도달 학생 수를 보고받고, 일제고사 점수 올리기 대책을 강요해왔다”며 문제점을 강조했다. 이어 “진단평가, 학업성취도평가, 학력평가라는 일제고사의 고리를 폐지”하고 “학생에 대한 진단을 평가가 아닌 활동프로그램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한국교원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