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김도연 (초등영어·25)

나는 내가 공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조차 몰랐던 초등학교 시절이 있었다. 매일이 즐거웠지만, 수업 시간에 갑자기 선생님께서 칠판에 나와서 문제를 풀라고 하면 당황스러웠다. 또 하나 생생한 기억은 영어 단어 시험이었다. 선생님께서 rainbow를 영어로 불러주셨고 나를 포함한 모든 친구가 어떻게 쓸지 몰라 연필 소리 없이 조용히 있었다. 선생님께서는 /r/,/e/,/ɪ/,/n/,/b/,/o/,/ʊ/를 하나씩 발음해 주셨고 그제야 다른 친구들은 책상 위에서 연필이 부딪치는 소리를 내며 단어를 썼다. 그 순간 나는 선생님의 힌트를 알아들을 수 없는 유일한 학생이었다. ‘왜 나만 모르지?’ 했던 슬픔이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난다. 이후 나는 우연히 반에서 2등을 하게 되었다. 나를 포함한 우리 가족 모두가 놀랐다. 그때 처음으로 나도 하면 할 수 있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건 나의 첫 자기 효능감이었다. 그 경험 덕에 이후에 학업에 임해 결국 꿈꾸던 교사가 될 수 있었다.

나의 첫 학생은 교실 창문을 열면 파도 소리가 들리는 작은 학교의 아이들이었다. 아이들의 학습 격차는 여느 학교와 다름없이 컸다. 학습에 관심이 없는 학생은 노력해도 어차피 못 할 거라 생각해서 더 공부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유독 영어 시간에는 모든 학생들이 즐겁게 수업에 참여했다. 돌아보니 이유가 있었다. 초등 3학년 영어 교과는 그날 배우는 단어와 표현만 익히면 누구나 즐겁게 교실 놀이에 참여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단계를 나누어 함께 해결할 수 있는 과제를 주면, 포기하지 않고 계속하는 참여하려는 학습 동기가 생겼다.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며 즐거워하는 경험을 통해 수업과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도 가지게 된다. 이후에 나는 학생들이 좀 더 즐겁게 수업을 배울 수 있는 파닉스 수업 활동들을 준비했다. 실제로 학생들은 파닉스 수업을 기다리고, 왜 하지 않냐며 불평하기도 했다.

특별히 학습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겐 보호자의 동의를 얻어 소규모 지도나 개별 지도한다. 과거의 나처럼, 지금은 방법을 몰라 공부를 힘들어하는 학생들을 지도한다. 학습 자체를 싫어하는 학생들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지금껏 이러한 원리를 몰랐다며 배우는 것의 즐거움, 자기도 할 수 있다는 효능감을 느꼈다. 이러한 긍정적인 경험은 자기 인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수업 시간에 발표한다고 손을 절대로 들지도 않던 아이가 스스로 손을 들고, 늘 교실 앞에서는 아주 작은 목소리로 부끄러워하며 말도 못 하던 학생이 스스로 칠판의 단어 카드를 가리키며 제법 씩씩하게 자기 목소리를 내는 모습을 보면 정말 가슴이 뭉클해진다. 그럴 때마다 교사로서의 보람을 새삼 느낀다.

돌이켜보면, 어렸을 때 나도 공부를 할 수 있다는 효능감을 한 번도 느끼지 못했다면, 혹은 너무 늦게 경험해 보았다면 나의 삶이 또 어떻게 바뀌었을까 생각해 본다. 아마 그래도 나름대로 따뜻한 인생을 살 게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내가 노력한 만큼 결실을 거두는 경험은 아마 한참 뒤에나 가능했을 것이다. 나와 함께 하는 아이들이 지금 이곳, 학교에서부터 자신을 믿고 도전해 보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다. 스스로에 대한 긍정적인 성공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하고 싶다.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전해야 할 지식과 규칙을 알려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아이들의 평생에 영향을 미치는 그래, 나도 할 수 있구나!’ 하는 스스로에 대한 믿음과 긍정적인 자아 인식이 아닐까? 나는 매년 만나게 되는 모든 학생들에게 말한다. “지금부터 하면 정말 너도 할 수 있어!”

 

 
저작권자 © 한국교원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