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6일부터 1228일까지 우리학교 교육박물관에서, 개교 40주년 특별전 선생님, 세상을 비추는 푸른 빛이 전시된다. 1청람, 청람인2시간을 거닐다를 통해 우리학교가 걸어온 지난 40년을 생생하게 되돌아볼 수 있다. 또한 우리학교의 곳곳을 표현한 미술교육과 학생들의 작품 우리들의 유토다이스 다락골의 청람벌을 통해 우리학교와 학내 구성원들의 모습을 다시 한번 살펴볼 수 있다.

 

1청람, 청람인2시간을 거닐다전시 이어져 지난 40년의 역사 생생하게 느낄 수 있어

지난 1026일부터 1228일까지 우리학교 교육박물관에서는 개교 40주년 특별전 선생님, 세상을 비추는 푸른 빛(이하 특별전)’이 전시된다. 특별전은 1청람, 청람인2시간을 거닐다두 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1청람, 청람인은 지난 40년 동안 학내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학교의 역사와 문화를 느낄 수 있는 전시다. 1부 전시는 우리학교의 설립과정을 알아볼 수 있는 백년대계의 첫발을 내딛다로 시작한다. 우리학교의 설립 논의 과정 중 작성된 문교부의 한국교원대학교설치추진보고서와 개교 초기 현판 등이 전시되어 있다.

선생님을 길러내다에서는 지난 40년간 2만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과거 입시 원서와 수험표 등의 자료나, 시험 답안지와 생활복 등 선배들이 실제로 사용했던 다양한 물건들이 전시되어 있다. ‘199910월의 신뢰관 102는 실제 신뢰관에서 사용하는 가구들과 99학번 학생들의 물품을 사용해 연출되었기에 과거 생활관에서의 생생한 삶을 엿볼 수 있다. 이후 이어지는 다시 가르치다는 우리학교 3대 기능 중 하나인 교원 연수에 대한 역사를 다뤄, 연수 자료 등이 전시되어 있고, ‘한국 교육을 이끌다는 교육 연구의 기능을 수행하며 발행한 책 등이 전시되어 있다. 이 외에도 ‘Statistics in KNUE’에서는 교원 자격증 수여 현황 및 임용고시 합격률 등 우리학교의 통계를 살펴볼 수 있다.

2부에는 ‘40주년 디지털 사진전까지의 길을 따라 지난 40년간 다양한 행사 사진이 게시되어 있다. 디지털 사진전은 AI를 활용해 개교 당시부터의 사진을 디지털화하여 우리학교의 과거 모습을 더욱 생생하게 들여다볼 수 있다.

1999년 10월 신뢰관 102호 (사진 / 김승훈 기자)
1999년 10월 신뢰관 102호 (사진 / 김승훈 기자)
선생님을 길러내다 전시 장면 (사진 / 김승훈 기자)
선생님을 길러내다 전시 장면 (사진 / 김승훈 기자)
2부 시간을 거닐다 전시 장면 (사진 / 김승훈 기자)
2부 시간을 거닐다 전시 장면 (사진 / 김승훈 기자)

 

미술교육과 학생들의 작품 우리들의 유토다이스 청람벌의 다락골함께 전시돼

이번 특별전에 우리들의 유토다이스 다락골의 청람벌이 함께 전시되었다. ‘우리들의 유토다이스 다락골의 청람벌이란 우리학교가 위치한 다락리를 배경으로, 교사와 학생 및 연구자들이 모여드는 이상적인 학문의 벌판을 의미한다. 이 작품은 교육박물관 김미애 학예사의 기획·지도하에 미술교육과 24학번 최윤서 조다영 양다녕 강민하 학우가 그린 우리학교 지도이다. 우리학교의 다양한 시설들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였고, 그 안에서 살아가는 학내 구성원들을 표현하였다.

제작에 참여한 최윤서(미술교육·24) 학우는 한국교원대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지도를 제작하기 위해 우리학교 인근 지리를 세세히 파악해야 하는 점이 어려웠다라고 언급하였다. 하지만, “40주년을 기념해 의미 있는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우리들의 유토다이스 다락골의 청람벌 (사진 / 김승훈 기자)
우리들의 유토다이스 다락골의 청람벌 (사진 / 김승훈 기자)

 

저작권자 © 한국교원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