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총학생회비 잔여급의 인수인계를 두고 횡령 논란이 제기되었다. 2020년까지 재임하였던 제33대 총학생회가 후대 대학원 총학생회에 총학생회비 잔여금을 인계하지 않았다는 의혹이다. 현 송영재 제36대 대학원 총학생회장은 김민창 제33대 대학원 총학생회장이 총학생회비 잔여금과 예산 사용 내용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민창 전 회장 다음으로 취임한 이진호 제35대 대학원 총학생회장도 재임 당시에 김민창 전 회장으로부터 총학생회비 잔여금을 인계받지 못하였다고 이야기했다. 이에 김민창 전 회장 측은 한국교원대신문의 질문에 이와 같은 주장이 모두 허위 사실이라고 주장하며 인수인계할 회비가 남아 있지 않았다고 답했다. 한편 송영재 대학원 총학생회장은 현재 횡령 논란과 관련하여 법적인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 “총학생회비 잔여금 인계 못 받았다” … 대학원 총학생회비 횡령 의혹 제기돼

이번 논란은 전전(前前)의 김민창 제33대 대학원 총학생회장이 후대 대학원 총학생회에 총학생회비 잔여금을 인계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시작되었다. 김민창 전 대학원 총학생회장이 총학생회비 잔여금을 넘겨주지 않았으며, 총학생회비의 집행 내용 공개도 거부하였다는 주장이다. 

이에 관하여 현재 재임 중인 송영재 제36대 대학원 총학생회장은 한국교원대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대학원 총학생회칙 제45조(인수인계)’에 따라 당해 총학생회는 총학생회비를 인수할 의무가 있다”라고 이야기하며 “전 총학생회(제35대)에서는 회비를 걷지 않았으므로, 전전 총학생회(제33대)로부터 인수인계를 받아야 하였으나, 인계를 받지 못했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송영재 대학원 총학생회장은 김민창 전 회장에게 남은 회비의 인계와 회비 입출금 명세 공개를 요구하였으나. 김민창 전 회장 측은 이를 거부하였다고 이야기했다. 송영재 대학원 총학생회장은 “김민창 전 회장은 약 8,000원의 총학생회비가 남았으며, 예산 사용 내용에 관한 자료도 가지고 있다고 했다. 그런데 그것(예산 사용 내용)을 보내달라 요구하였더니, 시간이 없어서 그럴 수 없다고 말했다”라고 이야기했다.

김민창 전 회장이 퇴임하고는 제34대 대학원 총학생회가 구성되지 않아, 그로부터 1년 만에 대학원 총학생회를 이어받았던 이진호 제35대 대학원 총학생회장 또한 김민창 전 회장으로부터 총학생회비 잔여금을 인계받지 못하였다고 주장했다. 이진호 전 회장은 한국교원대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김민창 전 회장으로부터 전혀 총학생회비 잔여금의 인수인계를 받지 못하였으며, 재임하는 동안 김민창 전 회장에게 여러 차례 연락을 시도하였으나, 연락되지 않았다고 이야기했다. 이진호 전 회장은 “총학생회비 잔여금을 인수인계받지 못하여 고소를 검토하였으나, 제가 김민창 회장이 재임할 때 학생회비를 내지 않아서, 피해의 당사자가 아니라 당시에는 고소 진행이 불가능하다는 이야기를 들어 고소하지 않았다”라고 이야기했다.

대학원 총학생회비 인수인계 관련 주장 정리 / 김승수 기자
대학원 총학생회비 인수인계 관련 주장 정리 / 김승수 기자

 

◇ 김민창 전 대학원 총학생회장, “허위 사실이라 대응할 이유 없다” … 송영재 대학원 총학생회장, “법적인 조치 검토 중”

한편 김민창 제33대 대학원 총학생회장은 해당 논란을 모두 허위 사실이라고 일축했다. 한국교원대신문은 김민창 전 회장 측과 현재 제기되고 있는 논란에 대해 인터뷰를 요청하였으나, 김민창 전 회장 측은 인터뷰를 거부하였다. 김민창 전 회장은 “총학생회장을 하며 회비는 모두 정상적으로 집행했다”라고 이야기하며 “인수인계할 회비는 없고, 유언비어와 악소문에는 일체 대응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라고 전했다. 또한 “먼저 기사를 살펴본 후, 인터뷰나 대응 방안을 고려하겠다”라고 이야기했다.

반면, 송영재 현 대학원 총학생회장은 인터뷰에서 “학생회비 인수인계와 관련하여 변호사에게 법률 자문을 받았으며, 업무상 횡령으로 고소가 가능하다고 들었다”라고 이야기하며 “김민창 전 총학생회장 측에서 계속 총학생회비 잔여금에 대한 인수인계와 예산 집행 내용 공개를 거부한다면 법적인 조처를 할 수밖에 없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대학원 총학생회비 잔여금의 인수인계와 사용 내용 공개를 둘러싸고 양측의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학생 자치가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학우들이 객관적인 시각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저작권자 © 한국교원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