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련, “교육불평등 심화시키는 교육부 정책 반대한다”
▲교육전문대학원 ▲교육대학 6년제 ▲기간제 교사 확대 등 교육부에서 실행 계획 중인 정책들은 2023년도 상반기 교육계에서 뜨거운 감자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위 같은 정책들에 대해 예비교사들 사이에서는 부정적인 반응이 주를 이루고 있다. 결국 전국교육대학생연합(이하 교대련)은 교육부의 위 같은 정책을 철회하기 위해 전국 교육대학 학생 총투표와 학생총회를 가결시키고, 지난 3월 26일 ‘0326 교육공동행동’을 실시했다. 0326 교육공동행동에서는 교대련을 중심으로 우리학교 초등교육과를 포함한 전국 교육대 및 사범대 예비교사 약 1,500명이 서울 시청역 7번 출구에서 삼각지파출소까지 행진하며 교육부를 향해 목소리를 내었다.
◇ 우리학교 초등교육과, 공동행동 진행에 94.3% 찬성 … 총 6명의 학우 직접 참여해
교대련에 가입되어 있는 우리학교 초등교육과도 ‘0326 교육공동행동’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초등교육과 학생회장 김선규(초등교육·21) 학우는 “지난 3월 6일과 7일, 이틀에 걸쳐 초등교육과 각 심화 대표를 대상으로 학내 분위기 조성 및 공동행동 홍보를 위한 정세교육을 진행하였다”라고 밝혔다. 이후 지난 3월 10일, 초등교육과의 모든 재적인원이 속한 각 심화별 단체채팅방에서 ‘2023년 상반기 전국교육대학생연합 0326 교육공동행동 진행 여부’ 총 투표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재적인원 487명 중 76.18%인 371명이 참여하였으며, 94.3%인 350명의 찬성으로 안건이 가결되었다.
이후 3월 20일 교대련 중앙위원회에서 공동행동 진행 가결 공지와 함께 0326 공동행동 진행이 확정되었으며, 우리학교에서는 참가신청 링크를 통해 자유롭게 참가신청을 받았다. 초등교육과는 학생회장단과 정책국장을 포함하여 총 6명의 학우가 참여하였다. 초등교육과 학생회장은 낮은 참여율에 대해 “일요일 오후 서울에서 진행된다는 점으로 인해 참여율이 다소 저조하지 않았나 생각된다”라고 의견을 내비쳤다.
◇ 0326 교육공동행동 현장 … 교전원 도입 철회, 기간제 교사 확대 정책 중단 등 요구해
3월 26일 일요일 13시 30분, (구) 삼성본관 횡단보도 맞은편 무대에서 집회를 시작으로 0326 공동행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약 1,500명 규모의 교대·사범대 학생들이 집회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시청역 7번 출구에서 삼각지파출소까지의 행진에서 ▲교육 불평등 심화시키는 교육부 정책 반대 ▲교육전문대학원 도입 철회 ▲교육대학 6년제 반대 ▲기간제 교사 확대 정책 중단 ▲목적형 양성체제 강화를 주요 구호로 외쳤으며, 교육부의 발언이 적힌 플래카드를 밟거나 스티커에 한마디씩 써서 붙이는 등의 퍼포먼스도 진행하였다.
0326 공동행동에 참여한 초등교육과 학생회장은 “저 또한 한 명의 교육대학생이기에 교육 정책에 대한 목소리를 내고 싶었다”라고 참여계기를 밝혔다. 또한 “참가자이자 대표자로서 해당 집회를 기획하고 무대에서 발언도 하였기에 더욱 기억에 남고, 힘들었지만 그만큼 뿌듯한 경험이었다”라며 다음에는 우리학교 초등교육과에서 더 많은 학우들과 함께 참여하고 싶다는 소감을 밝혔다.
예비교사로서 교육정책에 목소리를 내기 위해 공동행동에 참여하였다고 밝힌 성준(초등교육·21) 학우는 “다들 한마음으로 왔다는 것이 느껴질 정도로 우리의 요구 사항을 한목소리로 내는 것이 인상 깊었다”라고 현장의 상황에서 느낀 바를 이야기했다. 이어서 “많은 사람들이 한자리에 모여 목소리를 외치는 것은 힘든 일이지만, 참가자의 일원이자, 교대생으로서 다른 교대생들과 함께 교육을 위한 목소리를 낸 뜻깊은 시간이었다”라는 소감을 밝혔다.
한편 교대련 측에서는 지난 4월 6일 교육부 장관·차관과의 면담 요구와 동시에, ▲교전원 도입 철회 ▲정원외 기간제 교사 제도의 연장 및 제도화 방안 검토 중단 ▲3월 말 발표 예정이었던 중장기 교원수급계획 발표 등을 요구하는 공문을 교육부에 발송했다.
현장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정책은 향상된 교육으로 이어질 수 없다. 교육불평등 해소와 더 나은 교육여건, 궁극적으로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현장의 목소리 반영은 필수적이다. 공동행동과 관련한 교육부의 대응은 어떨지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