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의 발전에 대해 떠오르는 느낌이 있는가? 아마 따뜻한 느낌과는 거리가 멀 것이다. 하지만 최근 장애 학생들의 교육에 도움이 되는 따뜻한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는 소셜벤처들이 있다. 이번 미래 교육을 잇다에서는 장애 학생 중 시각장애인들의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술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시각장애인도 활용할 수 있는 태블릿PC, 닷 패드

최근 여러 지역의 교육청들이 디지털 교육을 명분으로 학교에 태블릿PC를 보급하고 있다. 그러나 시각장애인은 태블릿PC를 활용하기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각장애인을 위한 제품을 만드는 소셜벤처 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태블릿PC닷 패드를 개발했다.

닷 패드는 점자정보단말기이다. 기존의 점자정보단말기는 PC와 연결해서 글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것만 가능했다. 즉 로고, 그래프, 도형, 사진, 지도 등의 그래픽은 점자로 표현할 수 없었다. 하지만 닷 패드는 수천 개의 핀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글자뿐만 아니라 그래픽도 점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이 닷 패드를 이용한다면 그래픽의 형태 그대로를 만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기존의 시각장애인들은 로고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 수 없었지만 닷 패드를 이용한다면 로고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 수 있게 된다. , 그동안 시각장애인들은 그래픽을 기반으로 한 교육에 취약했다. 하지만 이제는 닷 패드를 통해서 시각장애인들이 세계 지도, 화학 분자 모양 등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들을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게 됐다. 실시간으로 콘텐츠를 접해 볼 수 있다면 시각장애인들이 앞으로 많은 디지털 정보를 직관적으로 얻고, 창작 활동을 할 때 이전보다 쉽게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게다가 닷 패드가 애플의 아이폰, 아이패드와 연동해 사용할 수 있게 됐다. , 시각장애인들이 아이폰, 아이패드에 전송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닷 패드를 통해 점자로 확인할 수 있다. 아이폰, 아이패드와 연동되면서 시각장애인의 디지털 접근성이 향상되고 추가로 닷 패드와 호환되는 교육 애플리케이션이 개발할 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점자 교육을 위한 교육 보조기기, 탭틸로

(탭틸로/오파테크 제공)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태블릿PC가 있어도 시각장애인이 점자를 읽지 못하면 의미가 없다. 실제로 시각장애인 중 점자를 읽지 못하는 사람의 수가 점자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의 수보다 많다. 점자 교육을 위한 인프라와 콘텐츠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셜벤처 오파테크는 시각장애인의 점자 교육을 위한 스마트 점자 학습기인 탭틸로를 개발했다. 탭틸로는 점자 교육 보조기기이다. 탭틸로는 점자의 형태를 느낄 수 있는 하얀 부분과 점자 쓰기를 할 수 있는 파란색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얀 부분을 통해 점자를 읽고, 파란 블록에 있는 점자를 누르면서 점자를 쓰는 법을 익힐 수 있다.

기존의 점자 교육 보조기기를 사용한 점자 교육은 일반 학교 교실처럼 일대다() 교육이 어려웠다. 교사가 학생에게 거의 1 1로 붙어서 점자 교육 보조기기를 일일이 눌러 줘야 했다. 예를 들어, ‘모자라는 단어를 한 사람의 교사가 20명에게 알려 주려면 ’, ‘’, ‘’, ‘라는 4개의 자·모음을 만들어 20명의 학생에게 일일이 눌러 줘야 했다. , 모자라는 단어 하나를 가르치기 위해 교사가 80(4x20)이나 같은 동작을 반복해야 했다. , 기본적으로 교사가 점자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했다.

반면에 탭틸로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결된 단말기를 활용한다면 점자를 쉽고 효율적으로 가르치는 게 가능하다. 점자를 모르는 사람도 교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최대 10명까지 동시에 가르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사가 스마트폰 앱을 켠 뒤 모자라는 단어를 입력하면 스마트폰 화면에 해당 점자가 표시되면서 음성 서비스가 지원된다. 동시에 스마트폰과 연동된 단말기의 점자판에 모자에 해당하는 점자 정보가 자동으로 전송되면서 점자 핀(pin)들이 튀어나온다. 시각장애인들이 이렇게 튀어나온 점자 핀들을 만져 보면서 모자라는 단어를 읽는 연습을 할 수 있다. 쓰는 연습은 교사가 스마트폰에 단어를 입력한 뒤, 단말기 하단 점자판에 튀어나온 점자 핀들을 학생들이 만져본 뒤 주어진 블록을 가지고 똑같은 점자를 만들어 단말기 상단 점자판에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저작권자 © 한국교원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