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이론 강의와 실험·실습·실기 교양 강의 대면 수업 허용, 의견 수렴 결과와 상반돼
10월 1일, 중간고사 이후 학사 운영 방안을 결정하는 제21차 감염병관리위원회(이하 감염위)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번 감염위 회의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으로 학생대표가 배석된 회의였다. 회의에 앞서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역시 실시되었다. 하지만 정작 학사 운영 결정 사항에는 학생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 회의 도중 학생대표 퇴장 요구, 총학생회 측 "사전 협의 내용과 달라"
총학생회장단은 이번 감염위 회의가 열리기 전 대학본부 측과 학생 위원의 참석, 발언, 의결권을 보장받는 것을 협의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회의 당일, 학생대표로 참석한 총학생회장은 학생 설문 조사 결과와 학생 의견을 설명한 후 다른 위원들의 의견은 듣지 못한 채로 퇴장했어야 했다. 또한, 학생대표를 위한 회의 자료도 준비하지 않는 등 감염위는 학생대표를 철저히 배제하였다.
학생대표 배석 사전 협의 사항에 대해 대학본부 관계자는 “대면 및 비대면 수업 선호도 등 학사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청취하는 것에 대해 협의하였다”라며 총학생회 측과는 상반된 답변을 내놓았다. 또한 학생대표의 의결권 없이 이번 감염위 회의가 진행된 이유를 묻자 대학본부 측은 별다른 설명 없이 “학생대표는 위원회에 위원이 아닌 배석자로서 참여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라고 밝혔다.
학생대표의 의결권 행사가 불가능했던 당시 상황에 대해 총학생회 측은 “회의에 참석하여 학우들의 의견을 전달하는 것 또한 많은 발전이다. 그러나 많은 위원이 걱정하는 학우들의 혼란 방지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하다”라고 밝혔다. 실제로 학생대표 배석 협의 과정 중 총학생회는 학생대표 배석의 당위성을 설득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다. 대학본부는 여러 차례 면담과 인터뷰를 통해 학생 의견 수렴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다고 밝히면서도 학생대표의 참여로 발생할 혼란을 우려한다는 태도를 꾸준히 내비쳤다.
◇ 감염위 결정사항, 학생 설문조사 결과와 차이 커
제21차 감염위 회의 이전, 감염위와 총학생회에서 각각 한 차례씩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가장 최근에 학내 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진행된 감염위 측 설문 조사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이중 학부생 응답자는 1,212명으로, 학부생 응답자 78%가 중간고사 이후 학사 운영 방안에 ‘현행 유지’를 선택했다. 대면 수업 확대에 응답한 학부생 응답자는 264명으로, 학부생 응답자 전체의 22%를 차지했다.
현행 유지가 우세했던 설문 조사 결과와는 달리, 제21차 감염위 회의 결과 중간고사 이후 학사 운영에는 큰 변동이 생겼다. 이론 강의는 대면 수업이 불가능했던 학기 초와는 달리, 이론 20명 이하의 전공 강의의 경우 대면이 가능해졌다. 또한, 교양 및 교직 강의도 실험·실습·실기 과목의 경우 대면 수업을 허용하게 됐다.
제21차 감염위 회의 결정 사항과 학생들의 의견이 큰 괴리가 있다는 것은 총학생회 측 설문 조사 결과에서도 알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전공 이론 과목 중에서는 비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사람이 전체 응답자 458명 중 69.9%를 차지했다. 중간고사 이후 교양 강의 중 실험·실습·실기 과목의 경우 비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사람이 64.8%로 우세했다.
대학본부 측은 중간고사 이후 학사 운영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구성원 설문 조사 결과 ▲백신 접종 현황 ▲사도교육원 수용 가능 인원 ▲감염병 관리 역량을 주로 고려하였다고 밝혔다.
중간고사 이후 학사 운영 결정 사항이 안내되고, 많은 학생이 혼란을 겪고 있다. 교수나 학과의 일방적인 대면 수업 확대 결정에 곤란을 겪고 있는 학우도 존재한다. 학사 운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주체는 학생이다. 학생대표 배석에 대한 공감대가 어느 정도 형성되어 대학본부가 꾸준한 학생 의견 수렴을 약속한 지금, 대학본부와 감염위는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을 넘어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반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