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교육혁신원 신설 및 교육연구원과 사도교양교육원 기능 개편

31일부터 부속시설 조직 개편 사항이 시행된다. 조직 개편을 통해 기존 교육연구원 산하의 교수학습센터가 미래교육혁신원으로 이름을 바꾸어 별도 기관으로 분리·신설되고, 사도교양교육원 산하의 교양교육부가 교육연구원으로 이동하여 교육연구원은 연구기획센터, 교양교육센터의 2팀 체제로 운영된다. 사도교양교육원은 사도교육원으로 전환되고 사도생활교육 중심으로 기능이 조정된다. 이번 조직 개편은 미래교육혁신원의 설치 교육연구원의 연구 기능 강화 교양교육 전담기구의 기능 실현을 핵심 내용으로 한다.

 

스마트 교육 지원 위한 미래교육혁신원신설

미래교육혁신원은 기존의 교수학습센터에 원격교육, 스마트교육 등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교수·학습 지원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교육연구원에서 독립하여 별도 기관으로 운영된다. 이를 통해 기획처, 교육연구원, 교육정보원 등에서 분산하여 담당해오던 미래교육센터 운영·관리 및 원격·스마트교육 지원을 주요 기능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교수·학습 지원 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 운영 교육 매체, 콘텐츠 제작 지원 예비교원 원격교육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시설 및 프로그램 운영 관리 스마트교육 지원 사업 기획 및 운영 등의 업무를 맡게 된다. 우리학교는 2020년 교육부 중등교원양성대학 스마트교육지원사업, 교원양성대학 원격교육 역량강화사업 등에 선정된 바 있다. 이에 원격수업이 가능한 스마트 강의실, 원격교육을 위한 스튜디오, 1인 미디어실, 미디어 편집실을 운영하고 있다.(관련기사: 445우리학교, 교육부 교원양성대학 원격교육 역량강화 사업 선정’) 이와 같이 현재 교육부는 미래교육’, ‘AI기반교육등을 주요 업무로 설정하여 추진 중이고, 이러한 사업을 전담할 부서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우리학교는 미래교육혁신원을 신설하였다.

 

교육연구원의 연구 기능 강화

설립 초기 교육연구원은 교과교육 관련 교육부, 시도교육청의 사업을 주로 수행하였다. 하지만 현재의 교육연구원은 자체의 연구·기획보다는 대학혁신지원사업 및 국립대학육성사업에서 위탁받은 업무를 주로 수행하여, 본래의 목적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학내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에 교육연구원은 교육 연구라는 본래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개편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번 조직 개편은 교육연구원장이 연구기획센터를 총괄·직할하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교육연구원의 연구기획센터는 교육현장에서 시급한 연구 분야를 발굴하고, 연구의 추진을 꾀한다. 연구기획센터는 혁신학교, 마을교육공동체, 고교학점제 등 새로운 교육 수요에 대응하고, 국가 수준의 교육 관련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교육연구원 산하의 8개 연구소(교과교육공동연구소 교육과정수업연구소 통일다문화교육연구소 뇌기반교육연구소 융합교육연구소 학교경영연구소 학교인구안전교육연구소 민주시민교육연구소)를 총괄 관리·육성하여 교육부 및 교육청의 사업에 준비하게 한다.

 

교양교육을 전담·총괄할 교양교육센터 설치

교양교육부는 ACE+사업 수행의 필요로 20183월 사도교양교육원 산하에 설치되었다. 현재까지는 ACE+사업, 대학혁신지원사업에서 위탁받은 업무 등을 수행하였다. 교양교육부는 생활관 위주로 운영되는 사도교양교육원 내에서 타 부서와의 원활한 협업을 통한 시너지를 내기보다는 단절된 채로 운영되었다. 교양교육부는 본래 교양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관리·운영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이를 다하지 못해 우리학교의 교양교육은 총괄하는 기구 없이 ACE+사업에서 진행하는 교양, 학과 개설 교양 등으로 분산하여 운영되었다. 김종우 총장은 공약으로 교양교육원 설치를 제시하는 등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독립부서를 만드려 했으나, 추가적인 인력 충원이 어려운 학교 사정 상 독립적인 교양교육원의 설치는 불가능했다.

이에 우리학교는 기존 ACE+사업 및 각 학과에 분산된 교양교육과정을 총괄할 교양교육센터를 교육연구원 산하에 설치하였다. 교양교육센터는 체계적인 교양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학생의 수요에 맞춘 교양과목을 개설하고, 비교과 교양 활동을 총괄하는 등 기초교양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한편, 조직개편안은 2019년 학내 다양한 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하며 출발하여, 20204~9월에 걸쳐 각 부서의 의견을 받아 조정되었고, 간부회의, 학처장회의, 교무회의 등 공식적인 협의 과정을 거쳐 정리되었으며, 대학평의원회, 전교교수회의 등의 심의를 거쳐 확정되었다.

 
저작권자 © 한국교원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