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8호] 정부, 아동학대 예방대책으로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 내놔

2016-04-12     이민아 기자

지난 3월 29일 오전 10시 여성가족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국무회의에 보고하고, 이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교육부 등 여러 관계부처가 참여한 ‘부모교육 활성화 테스크포스(TF)’를 통해 마련됐다. 이번 대책은 자녀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부모역할에 대한 학습을 통해 아동학대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생애주기와 가족유형을 고려한 체계적인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에는 여성가족부의 건강가정지원센터, 보건복지부의 육아종합지원센터, 교육부의 학부모지원센터에서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교육의 체감도가 높지 않고 선발적으로 진행되어 취약가정의 부모가 혜택을 누리기 힘들었다는 점들이 문제로 지적됐다.

이번 대책은 ▲생애주기별 맞춤형 부모교육 강화 ▲취약가정 부모 중점 지원 ▲부모교육 사회적 공감대 확산 이라는 세 가지 추진방향을 가지고 설계됐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부모교육 강화’는 부모교육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생애주기별로 필요한 시기에 적합한 교육을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초·중·고 교육과정에 부모교육 관련 내용을 반영하는 것은 물론 국방 TV 채널에 군 장병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부모 교육을 편성하고 혼인신고를 하면 부모교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참여를 유도하는 내용 등을 포함하고 있다.

‘취약가정 부모 중점 지원’은 상대적으로 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던 취약가정 부모도 부모교육에 참여할 수 있게 해 자녀양육 역량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취약가정의 특성을 반영한 교재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재학대 위험이 높은 수형자나 보호관찰대상자 등 고위험 부모에 대한 부모교육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올해 6월부터 100가구를 대상으로 1:1 맞춤형 멘토링 서비스를 시범 실시하는 것을 시작으로 취약가정 부모가 아이를 양육하면서 마주하게 되는 경제적 문제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출구를 마련하고자 한다.

세 번째 추진방향인 ‘부모교육 사회적 공감대 확산’은 대중에게 노출빈도가 높은 영화관, 백화점, 대형마트 등에 홍보영상을 꾸준히 배포하여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홍보하여 부모교육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 매년 가정의 날(5.15)과 연계한 ‘부모교육주간’을 신설하는 것도 계획의 일환이다.

우리학교에서 부모교육에 관한 강의를 맡고 있는 고정리 교수는 “성인 교육이라 강제성을 부여하는 것은 어렵다. 하지만 많은 성인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게끔 정부의 지원 아래 좋은 강사와 탄탄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질 좋은 부모교육을 개발해야 한다. 유·초·중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생애주기별 부모교육은 교육기관이 학생들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서 참여를 이끌어내는 방법도 있다.”며 앞으로 실행될 부모교육에 대한 바람을 전했다. 또 “나의 아이라고 하더라도 내 마음대로 해도 되는 부속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육아기법보다도 중요한 것은 아이를 책임지고 존중하는 마음이다.”라고 덧붙이며 아동학대에 대한 생각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