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1호] 당위에 따를 때
10월 6일 열렸던 교수회의에선 총장 선출 방식의 직선제 전환을 두고 열띤 논의가 있었다. 직선제로의 전환을 주장하는 쪽은 지금껏 재정지원에 얽매어 교육부가 표방하는 정책들에 따르기만 하던 일을 그만 두자고 했다. 대학평가와 재정지원을 무기로 대학의 자율성을 짓밟는 교육부의 행태에 분명히 문제제기를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한편 반대하는 쪽은 직선제 전환이 교육부에 밉보이는 행실일 수밖에 없다며 오는 12월에 있을 4주기 교원양성기관평가 결과 발표를 앞두고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3시간가량의 논의가 이뤄진 뒤 본래 예정돼 있던 투표 얘기가 나오자, 총장은 우리대학의 미래에 위험한 결정이 될 수 있다며 투표 의안을 거부했다. 여기저기서 교수들이 항의하는 소리가 들렸지만, 마이크는 총장 외의 누구에게도 넘어가지 않았고 교수회의는 그렇게 폐회됐다.
교육부는 2011년부터 총장 직선제 폐지를 강력히 추진해왔는데 직선으로 선출된 총장이 학과 구조조정 등 통폐합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대학 내에 파벌을 형성한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그런 추세에서 우리학교는 그해 10월 교육부와 ‘교원양성대학교 구조개혁방안 추진 업무협약(MOU)’를 체결했고, 총장 선출 방식을 간선제로 한다는 것이 그 내용에 포함돼 올해부터 공모제로 총장을 선출하기로 돼 있었다. 그러나 총장 공모제가 대학재정지원사업과 연계된다는 점과 후보자와 친분 있는 교수가 많으면 능력 및 자질과 상관없이 당선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비단 지난 교수회의에서만이 아니라 우리는 매번 학교의 성장과 존립을 위해 어쩔 수 없다며 교육부 정책에 최대한 따랐고, 그 과정에서 연구와 교육에서의 대학의 자율성은 차치돼 왔다. 그 순응의 대가인 지원금으로 사업을 유치하고 시설을 확충하는 것도 학교 발전을 위한 일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당장의 몇 억과 몇 천의 지원에 급급해 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대학의 역할을 도외시하고 무엇보다 교육발전에 이바지 한다는 교원대의 직무를 유기해 온 것이 현실의 이름으로 넘어갈 일은 아니다. 이상적일 뿐 현실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 여겨졌던 당위에 맞게 행동했을 때 오히려 교육부 앞에 떳떳이 설 수 있을 것이다. 덮어두었던 당위를 쳐다봐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