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6호] 2013학년도 하반기 학생총회 성사

5년 만에 성사, 여러 논란 낳아

2015-06-24     한지훈 기자

지난 3일 오후 7시에 교원문화관에서 제29대 확대운영위원회(이하 확운위) 주관 하에 2013 하반기 학생총회가 개최됐다. 이 날 학생총회에서는 ▲1학기 학생회비 사용보고 ▲하반기 확운위 및 자치기구 사업계획안·학생회비 예산안 논의 ▲국정조사 관련 시국 선언에 대한 총투표 진행안 등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지난 2009년부터 2012년까지 하반기 학생총회가 4년 연속 무산됨에 따라 올해 학생총회 역시 무산되는 것이 아닌가하는 우려가 있었으나, 이를 불식하고 오후 7시 40분 경 재적인원수 2,352명 중 정족수 588명을 채워 하반기 학생총회가 성사됐다. 이에 김성근(화학교육·12) 확운위 의장은 “만약 총학 체제에서 하반기 학생총회를 진행했다면 성사되지 않았을 수도 있었을 것”이라며 “오히려 확운위가 총회를 주관했기에 자칫 무너질 수 있던 학생자치를 되살린 것 같다. 일종의 전화위복이라 생각하겠다”고 5년만의 하반기 학생총회 성사 소감을 밝혔다.

◇ 확운위 체제하의 사업 진행 어떻게 되나
이번 학기 역시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확운위 임원진을 필두로, 각 과 학생회를 위원진으로 한 제29대 확운위 체제하에서 사업이 진행된다. 지난 학기 확운위 의장이었던 김보곤(수학교육·11) 학우의 뒤를 이어 하반기 확운위 의장을 맡게 된 김성근 학우는 “총학의 부재 속에 확운위 체제하에서 사업이 진행되는 것에 있어 가장 필요한 것이 학우들의 관심”이라며 “따라서 많은 학우들이 사업 진행시에 피드백을 주었으면 한다”고 의장을 맡게 된 소감을 말했다.
2013년 하반기 사업은 ▲청람체전 ▲규찰대 조직 ▲명사초청 ▲헌혈차 등 주로 매년 지속적으로 이뤄지던 부분에 한해 진행될 예정이다. 규찰대 사업의 경우 지난학기 총학생회 부재로 인한 단일 실무단 체제의 부재와 세입 및 지원금 감소로 상반기 사업에 포함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학기 충북지방경찰청과 우리학교가 업무협약을 맺으며 확운위에서 규찰대 사업을 진행한다. 규찰대와 관련해 김 의장은 “아직 규찰대와 관련해 구체적인 사항은 마련되지 않았다”며 “학생지원과 측에서 충북지방경찰청과 구체적 사항에 대한 협의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앞으路’ 동아리 연합회에서는 동아리대동제를, ‘너랑나랑’ 학생복지위원회에서는 퇴사택배, 실습버스, 농촌연대활동, 커피 나눔과 추석귀향버스 등의 사업을 진행한다.

◇ 상반기 학생회비 사용 보고를 둘러싼 논란
이 날 학생총회에서는 여러 질문이 이어졌는데, 특히 2013학년도 상반기 학생회비 사용 보고 중 교육현장활동(이하 교활)의 학생회비 사용 명목을 둘러싼 논쟁도 벌어졌다. 교활에 관해 주로 논의된 사항은 ▲개인이 구비할 수 있는 물품을 학생회비로 구매한 점 ▲교활 참가비를 뒤풀이 비용으로 쓴 점을 들 수 있다.
개인이 구비할 수 있는 물품을 학생회비로 구매한 점에 대해 교활을 주최했던 채기병(일반사회교육·09) 학우는 “샴푸나 바디워시, 클렌징 폼 등은 모든 사람에게 필요한 물품이므로 개인 바구니를 사용하는것보다 공동으로 구매해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해 학생회비로 구매하게 됐다”고 답했다. 또한 채기병 학우는 교활 참가비를 뒤풀이 비용으로 쓴 점에 대해 “1인당 2만 원의 참가비를 걷는데,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기에 걷힌 참가비가 현저히 적었다. 그래서 뒤풀이라도 우리가 낸 비용으로 사용하기로 한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채기병 학우는 “상반기 총회 때 의결된 예산으로 교활을 진행했다”며 “승인된 예산을 사용한 것인데 왜 아끼지 못했느냐는 반응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채기병 학우의 답변에도 대다수의 학우는 이해가 되지 않은 듯했다. 곽원규(국어교육·11) 학우는 “교활 1·2차에 학생회비가 453만 원 정도가 지원됐지만 다른 자치기구는 예산이 부족해 사업 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교활이 규모가 큰 사업이긴 하지만 줄일 수 있는 예산은 줄이는 것이 낫다. 추후 예산을 짤 때에는 충분히 검토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같은 논란에 대해 이수진(역사교육·11) 확운위 부의장은 “교활은 매년 진행해온 사업이며 이번 교활은 행동하는예비교사모임과 연합해 진행했다. 2차 교활 총무를 맡았었는데, 큰 카테고리 구분 없이 예산 사용 목록을 작성해 혼란을 야기했다”며 “이는 확운위 체제의 문제다. 하반기 확운위 의장은 지난 6월 15일부터 임기를 시작했는데, 실제로 교활이 진행된 것은 6월이다. 실제 교활을 진행했던 임원과 현재 임원이 달라 전달 상의 오류가 있었던 점에 대해 죄송하다”고 말했다. 또한 김의장은 “감사 보고서를 작성할 때에는 학생회비 사용 목록을 구체적으로 적어 이와 같은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답했다.

◇ 확운위의 시국선언 번복
이번 하반기 총회에서는 국정조사 관련 시국선언에 대한 총투표 진행안도 논의됐다. 지난 대선 당시 국가정보원 선거 개입 사실에 대해 확운위는 방학 중이던 지난 6월 24일부터 28일까지 시국선언 여부에 대해 재학생 의견수렴을 했다. 그 결과 재적 2,299명 중 66%에 해당하는 1,517명이 참여했고, 그 중 63.9%인 969명이 ‘공식입장 표명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확운위 차원의 시국선언을 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지난 7월 4일 확운위가 돌연 공식입장 보류 설명서를 발표했다. 보류 설명서를 발표한 것에 대해 김 의장은 “지난 6월 26일 국정원 국정조사 요구서가 여야 합의하에 국회에 제출됐다”며 “이는 확운위가 시국선언의 목적으로 여겼던 국정조사와 엄중한 처벌을 통한 재발방지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여겨 시국선언 발표를 보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의장은 총회에 국정조사 관련 시국선언에 대한 총투표 진행안을 안건으로 상정한 것에 대해 “하지만 지난 8월 23일 국정조사가 결과보고서 채택 없이 종료되면서 시국선언의 본래 목적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또한 방학 중에 실시했던 재학생 의견 수렴은 공식 절차를 따른 투표가 아니므로 실효성이 없어 이에 실질적 효력을 가진 총투표를 진행하려 한 것”이라 설명했다.
하지만 학우들은 확운위가 시국선언을 보류한 것과 총투표를 진행하려 하는 것에 대해 이해가 가지 않는 입장이다. 확운위의 시국선언 보류에 대해 권한솔(역사교육·12) 학우는 “방학 중에 학생 의견 수렴이 말 그대로 학생의 의견을 모은 것인데 확운위에서 시국선언을 임의로 취소하는 것은 학생들의 의견을 무시하는 것”이라며 “시국선언의 목적 역시 국정조사 실시가 아니라 철저한 조사와 재발방지인데, 국정조사 실시가 이뤄졌다고 시국선언을 보류한 것은 경솔한 행동”이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 학우들의 활발한 논의 이뤄져
이번 총회에서는 수많은 학우가 질문 및 의견을 제시했다. 정아현(물리교육·08) 학우는 “교활이나 대동제 등의 사업은 매년 진행되는 사업이기에 이전과 비교될 수 밖에 없다”며 “하지만 확운위에서도 원활한 사업 진행을 위해 수고하고 있다. 따라서 비하하거나 감정을 건드리지 않고 건설적이며 진취적인 회의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길한샘(독어교육·12) 학우는 “오늘 제기됐던 문제는 확운위 체제의 문제다. 확운위 위원은 모두 각 과 학회장 혹은 부학회장을 역임하고 있어 맡은 일이 적지 않다”며 단일 실무단 체제가 필요함을 주장했다.
뒤이어 총회 진행 방식에 대해 정영은(국어교육·11) 학우는 “학생회비 사용내역 발표 등을 할 때 발표자를 정해서 발표를 하고 질문을 받았다면 보다 효율적이고 설명도 편할 것”이라고 의견을 피력했다.
여러 학우들의 논의 속에 2013 하반기 학생총회는 11시 10분 경 폐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