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6호] 수학여행 존폐 논란 재점화
안전한 수학여행 위한 대안 마련 이뤄져야
발행: 2014. 5. 6.
지난달 21일 교육부는 세월호 침몰사고와 관련해 올해 1학기 수학여행을 전면 중지하기로 결정했다. 이와 더불어 인터넷 상에서도 수학여행 폐지에 대한 청원글이 올라오는 등 수학여행 존폐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
교육부는 지난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회의에서 “현재 학생과 학부모들의 불안을 감안해 1학기에 예정된 수학여행을 그대로 진행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는데 의견을 모았다”며 이번 수학여행 중지안의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에서는 이번 사고로 논란이 된 수학여행 존폐 문제와 관련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뒤 근본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1학기 수학여행의 금지는 지난 2월 발생한 부산외국어대학교 신입생 OT 리조트 붕괴 사고 당시 학생회 주도의 OT를 금지하겠다던 대응과 같아, 근본적인 원인을 개선하지 못하고 있다는 논란을 빚었다.
일각에선 수학여행 존폐 논란은 수학여행 관련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계속 돼오던 일이며, 이제는 수학여행의 실효성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한병선 교육평론가는 사설을 통해 “수학여행은 현대 사회의 여행과 체험학습의 일상화로 교육적 수명이 다했고, 수학여행에 따른 현실적인 위험 요소를 통제하기 어렵다”며 수학여행의 폐지를 주장했다. 이에 대해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의 고유경 상담실장은 “여행의 일상화에는 일정 부분 동의하지만 모든 학생들이 이를 누리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또한 수학여행마저 없어진다면 아이들의 학창시절 추억이 빈약해지고 학교생활은 입시학원과 다를 바 없어질 것이다”고 수학여행 폐지에 대한 반대의견을 냈다.
수학여행 존폐 문제와 관련해 교육계에서도 보도자료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대안으로 소규모 테마 여행들이 제안되고 있지만, 교사 개인의 역량에 의존해야 하고 또 대규모 수학여행에 비해 안전하다고 볼 수도 없다”며 “교육부는 이에 대한 의견을 충분히 나누고, 현장체험학습 등의 인프라 구축과 안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또한 “교육부가 150명 이하의 수학여행을 학교현장에 권고해왔음에도 많은 학교가 이를 지킬 수 없었던 근본적인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