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6호/교수의 서재] 무(無)의 세계, 현대의 낙원인가?
신속한 결정을 요구하고, 즉각적인 결과를 기대하는 현대 사회이다. 특히나, 우리나라에서는 ‘빨리빨리’ 문화가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효율성과 속도를 희망하는 오늘날, 어떤 이들은 오히려 아무것도 없는 ‘무(無)’를 꿈꾸곤 한다. 그러나, 인간이 정말 완전한 ‘무(無)의 세계’에서 살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그 세계에서 인간은 어떻게 변하게 될까? 이번호 교수의 서재에서는 독어교육과 전진아 교수와 함께 슈테판 츠바이크의 ≪체스 이야기≫를 통해 인간이 ‘무(無)의 세계’에서 어떻게 살게 되는지 알아보자.
*해당 인터뷰는 독일어로 진행되었기에, 독일어와 그에 대한 한글 번역본을 함께 기사에 첨부합니다.
Q1. 교수님께서 학부 시절 감명 깊게 읽으셨던 책은 무엇이며, 어떤 내용인가요? 또, 교수님께서는 그 책을 언제, 어떤 계기로 만나게 되셨나요?
Die ≪Schachnovelle≫ von Stefan Zweig ist Teil des Lehrplans in Österreich, somit müssen es alle in der Schule lesen. Aber erst während des Studiums, als ich das Werk erneut las, entdeckte ich, wie faszinierend und spannend dieses Werk ist.
Die Handlung spielt auf einem Schiff, auf dem der Ich-Erzähler auf Dr. B trifft, der eigentlich ein Rechtsanwalt war. Zur Zeit des Nationalsozialismus wurde er von der Gestapo eingesperrt, da er die Daten von seinen Klienten nicht herausrücken wollte. In Isolationshaft stahl er ein Schachbuch und lernte es auswendig. An Bord ist auch Mirko, der Schachweltmeister, der sehr gut Schach spielt, aber weder lesen noch schreiben gelernt hat. Als Mirko gegen Dr. B Schach spielt, muss er unfaire Taktiken einsetzen, um nicht zu verlieren. Dr. B, der in Haft lange Zeit nur im Kopf gegen sich alleine spielen konnte, steigert sich immer übermäßig in das Schachspiel, was ihn in den Wahnsinn treibt.
Die Novelle thematisiert den Kampf um geistige Freiheit und die zerstörerischen Folgen von Isolation. Zweig schafft es meisterhaft, die psychologischen Abgründe und den ultimativen Konflikt, zwischen Rationalität und Wahnsinn zu beleuchten.
제가 소개할 책은 슈테판 츠바이크의 ≪체스 이야기≫입니다. 이 책은 오스트리아의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어서 모두가 읽어야 하는 필독서입니다. 하지만, 대학생 시절 이 책을 다시 읽으면서 이 책이 얼마나 흥미롭고 매혹적인지 깨닫게 되어 오늘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책은 큰 배 위에서 그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주인공은 변호사였던 닥터 B를 만나게 됩니다. 닥터 B는 나치가 집권하던 시대의 게슈타포(경찰)에게 유대인 고객의 정보를 넘기지 않았다는 이유로 체포됩니다. 체포된 그는 체스 책을 몰래 챙겨 독방에서 그 내용을 통째로 외웁니다. 배에는 주인공, 닥터 B 외에도 체스 세계 챔피언인 미르코도 타고 있었습니다. 미르코는 체스를 엄청 잘 두지만, 한 번도 글을 읽거나 쓰는 방법조차 배운 적 없는 사람입니다. 그런 미르코도 닥터 B와 체스를 둘 때만큼은 그에게 지지 않기 위해서 편법을 써야 했습니다. 감옥에서 오랜 시간 혼자서 머릿속으로만 체스를 두었던 닥터 B는 점점 체스에 집착하게 되었고, 이는 결국 그를 광기 어린 사람으로 몰아넣습니다.
이 소설은 정신적인 자유와 고립이 몰고 오는 파괴적인 결과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츠바이크는 심리적인 파멸, 현실과 광기 사이의 궁극적인 갈등을 조명하고자 했습니다.
Q2. 이 책이 교수님께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Das Werk selbst beruht zwar nicht auf wahren Begebenheiten, aber die Zeit des Nationalsozialismus ist wahr. Durch dieses Werk erkannte ich meine Vorliebe für literarische Werke, die auf wahren Geschichten beruhen. Ausgehend von diesem Roman konnte ich viele andere Geschichten der Nazizeit lesen. Ich erkannte auch, wie gut wir es in unserer Zeit haben. Damals, als es weder Demokratie noch allgemeine Grundfreiheiten gab, waren die Menschen mit anderen Problemen konfrontiert als wir heute.
Zusätzlich zeigt Dr. B mit seinen Schachfähigkeiten, dass Genie und Wahnsinn eng miteinander verknüpft sind. Wie schnell man sich selbst in den Wahnsinn treiben kann, auch als Genie, ist erschreckend. Ich habe daraus interpretiert, wie wichtig es ist, körperlich und geistig gesund zu sein und es zu bleiben.
작품 자체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것은 아니지만, 배경이 되는 나치 정권 시대는 실제 존재했습니다. 저는 이 작품을 통해서 제가 실화를 바탕으로 하는 문학작품을 좋아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소설을 시작으로 나치 시대를 배경으로 한 다른 많은 작품을 읽었습니다. 또한, 우리가 현재 얼마나 좋은 시대에 살고 있는지도 깨달았습니다. 그 당시에는 민주주의도 기본적인 자유도 없었기에 사람들의 삶이 어려웠고 사회적인 문제가 많았습니다.
뛰어난 체스 능력을 갖춘 닥터 B는 천재성과 광기가 사실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천재인 한 사람이 동시에 얼마나 빠르게 스스로를 광기로 몰아넣을 수 있는지는 정말 놀랍습니다. 이를 통해 저는 육체는 물론이고 정신적인 건강도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Q3. 이 책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또는 기억에 남는 구절이나 부분이 있으시다면 소개해 주세요.
»Man tat uns nichts - man stellte uns nur in das vollkommene Nichts, denn bekanntlich erzeugt kein Ding auf Erden einen solchen Druck auf die menschliche Seele als das Nichts.«
“우리는 아무런 피해도 입지 않았다 - 그저 우리를 완전한 무(無) 속에 두었을 뿐이다. 세상에서 인간의 영혼에 이토록 큰 압박을 가하는 것은 무(無)보다 더한 것이 없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체스 이야기 중)
Dr. B versucht auszudrücken, welche seelischen Qualen er in der Isolationshaft leiden musste. Er konnte diese Zeit nur überstehen, indem er sich selbst in den Wahn trieb. Die obige Stelle gehört zu meinen Lieblingszitaten. Auf der Welt in einem Leben, in dem oft alles schnell-schnell gehen muss, wünschen wir uns manchmal das vollkommene Nichts, aber wenn wir wirklich damit leben müssten, wie würden wir uns dann verhalten? Würden wir überleben oder uns selbst in den Wahn treiben?
닥터 B는 독방에서 느낀 정신적인 고통을 표현하려고 합니다. 그런 그에게는 그 시간을 견디기 위해 스스로를 광기로 몰아넣는 선택밖에 할 수 없었습니다. 위 문장은 제가 좋아하는 인용문 중 하나입니다. 세상에서 모든 것이 빨리빨리 진행되어야 하는 인생에서 우리는 때때로 완전한 ‘아무것도 없음’ 무(無)를 원하지만, 실제로 그것과 함께 살아야 한다면 우리는 어떻게 행동할까요? 우리는 살아남을까요, 아니면 스스로 미쳐가게 할까요?
Q4. 마지막으로 책과 관련하여 우리학교 학생들에게 전하고 싶으신 말씀이 있다면 자유롭게 말씀해 주세요.
Da dieses Buch weniger als 100 Seiten hat, möchte ich dieses Werk gerne allen Studierenden empfehlen. Stefan Zweig war ein österreichischer Autor, der in der Zeit des Nationalsozialismus nach England und später nach Brasilien emigrierte und im Exil leben musste. Zweig verwendet eine kurze, klare und detaillierte Sprache, die einfach zu verstehen ist, und doch die Spannung aufrechterhält.
Ich selbst versuche stets positiv zu sein und alles aus einem positiven Blickwinkel zu betrachten. Das bedeutet, dass wir dankbar für die Dinge und Privilegien sein sollten, die uns zustehen. Es gibt auch nichts, was man mit Eifer und Fleiß nicht erreichen kann. Ich wünsche allen Studierenden unserer Universität, dass sie ihre Studienzeit richtig ausnutzen, um ihre Ziele und Träume zu verwirklichen. Ein Besuch in Europa (besonders in Österreich oder Deutschland) kann helfen, Horizonte zu erweitern, neue Kulturen zu erleben, Kontakte zu knüpfen und Erfahrungen zu sammeln.
이 책은 100페이지가 되지 않는 단편입니다. 그래서 모든 학생들에게 이 책을 추천해 주고 싶습니다. 슈테판 츠바이크는 오스트리아 작가로, 실제 나치 정권 시절에는 영국으로, 이후에는 브라질로 이주하여 계속 망명 생활을 해야 했습니다. 츠바이크는 짧고, 명확하면서도 섬세한 언어로 이야기를 써 내려 갑니다. 그래서 그의 작품은 쉽게 이해할 수 있고 계속 읽고 싶게 만드는 힘이 있습니다.
저는 늘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모든 것을 긍정적인 시각에서 바라보려고 노력합니다. 이는 우리에게 주어진 모든 물질과 인간으로서 누릴 수 있는 권리에 감사하게 생각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열정적으로 성실하게 노력해서 이루지 못할 것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학교 모든 학생들이 학창 시절을 열정적으로 잘 보내고, 꿈과 목표를 세우고 이루길 바랍니다. 그리고 유럽(특히 오스트리아와 독일)을 여행하는 것은 자신의 시야를 넓히고, 새로운 문화와 사람들을 만나 삶의 다양한 경험을 쌓는 데 도움 될 것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