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3호/독자의시선] 미국의 꿈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

김현숙(대학원 영어교육·17) 학우

2023-09-11     한국교원대신문

이 소설은 Fitzgerald의 대표작으로서, 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서구 문명에 깊은 회의를 보이면서 재즈에 심취하던 미국의 1920년대를 배경으로 한다. 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미국은 경제적으로 눈부신 성장을 이루었지만 경제 성장의 그늘에는 도덕적 타락과 부패가 심했다. 이 소설에서도 도덕적 타락은 톰과 데이지, 개츠비의 친구이자 후견인인 마이어 울프심, 데이지의 친구이자 프로 골프선수인 조던 베이커에게서도 잘 나타난다. 

이 소설은 시대적 배경과 더불어 공간적 배경도 중요한데, 뉴욕시 근교의 롱아일랜드 마을을 공간적 배경으로 삼았다. 달걀 모양을 하고 있는 웨스트에그와 이스트에그는 단순한 지리적 배경에서 끝나지 않고 삶의 방식이나 가치관을 잘 보여 준다. 대서양쪽으로 자리 잡고 있는 이스트에그는 톰과 같이 재산을 세습 받아 온 부유한 귀족들이 살고 있는 공간이고, 뉴욕시 쪽에 가까운 웨스트에그는 주인공 개츠비처럼 갑자기 떼돈을 번 신흥 부자들이 살고 있는 장소이다. 이 두 장소는 또한 미국 동부 지역과 중서부 지역의 차이를 또한 보여 주기도 한다. 뉴욕을 중심으로 한 동부 사람들은 물질적 부와 세련미, 교양을 두루 갖추고 있지만 도덕적, 윤리적으로는 타락한 양상을 보여 준다. 반면, 주인공인 개츠비, 화자인 닉 캐러웨이가 대변하는 중서부 사람들은 물질적으로 풍요롭지는 못하지만 아직 타락하지 않은 도덕적 순수성과 청교도주의의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   

이 소설에서 작가는 환상과 이상의 중요성을 깊게 다룬다. 개츠비의 삶을 통하여 환상과 이상은 부조리하고 무의미한 삶에 의미와 질서를 부여해 주는 듯 보인다. 주인공 개츠비에게 이상과 환상의 모습은 전쟁에 참전하면서 헤어졌고 이제는 다른 남자의 부인이 된 데이지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데이지 집 근처에 켜져 있는 초록색 불빛을 늘 응시하는 개츠비에게 초록색 불빛은 그의 삶에 의미와 질서를 부여해 주는 낭만적 환상이자 이상이기도 하다. 개츠비의 꿈과 환상은 지나간 시간을 다시 되돌려 놓으려고 애쓰며 도덕적으로 타락한 것으로 보일지도 모르지만 그 꿈을 성취시키기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은 화자인 닉이 보기에 톰과 데이지를 비롯한 다른 인물들의 이기적이고 무책임한 행동과 비교해 볼 때 숭고하게까지 느껴져서 닉은 개츠비에게 매료된다. 

개츠비가 가진 꿈이나 환상은 개인적 차원을 넘어서 ‘미국의 꿈’으로 이어진다. 종교의 자유를 찾아서 신대륙 미국에 정착한 청교도인들은 물질적인 것에 큰 관심을 보이며 근면하고 성실하고 정직하게 살며 물질적 성공 신화를 이루려고 한다. 개츠비도 이러한 성공 신화를 이루려고 했다. 그러한 그의 생각은 개츠비가 죽고 난 후 닉이 개츠비의 아버지에게서 건네받은 책 속 개츠비의 하루 계획표에 다음과 같이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 개츠비는 아침부터 밤까지 운동, 공부, 일, 웅변 연습 등 시간별로 철저하게 자기 자신을 관리하고 있었다. 

 

           Rise from bed                                6.00        A.M.

           Dumbell exercise and wall-scaling             6.15-6.30   //

           Study electricity, etc.                         7.15-8.15  //

           Work                                         8.30-4.30 P.M.

           Baseball and sports                           4.30-5.00  //

           Practice elocution, poise and how to attain it  5.00-6.00  //

           Study needed inventions                       7.00-9.00  //

 

그러나 작가는 물질적 성공은 변질된 ‘미국의 꿈’에 지나지 않고 정신적인 것이 참다운 ‘미국의 꿈’이라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주인공 개츠비를 통하여 변질된 ‘미국의 꿈’을 상징적으로 나타냈다. 비록 다른 남자의 부인이 되었지만 데이지의 사랑을 되찾으려는 개츠비의 꿈은 지극히 순수하고 낭만적이며 이상적이다. 그러나 그녀를 되찾기 위해서 막무가내로 달려드는 개츠비의 행동은 전혀 순수하거나 낭만적이지 않다. 그는 온갖 불법적인 방법(밀주를 판매하거나 훔친 증권을 불법으로 판매하거나 도박을 하는 등)으로 큰 재산을 모은다. 

개츠비의 이상주의가 물질주의를 수단으로 삼으면서 변질되고 타락한 것처럼 청교도들이 품었던 ‘미국의 꿈’도 물질주의와 손을 잡으면서 점점 빛이 바래진다. 청교도인들을 가슴 설레게 한 초록빛 눈부신 미국 땅은 쓰레기 더미의 잿빛 황무지로 변했다. 이런 황무지로 변한 잿빛 미국의 꿈을 보여 주기 위해 작가는 쓰레기 계곡 근처에 있는 에클버그라는 안과 의사의 광고탑을 통하여 그 상징을 나타내고 있다. 에클버그라는 안과 의사가 세워 놓은 광고탑은 전통적인 신을 밀어내고 자본주의와 상업주의라는 왜곡된 새로운 신을 세워 놓았다. 즉, 많은 사람을 설레게 한 ‘미국의 꿈’은 이젠 상업주의로 인해 타락하고 변질되었다.

얼핏 보면, 예전에 사랑했던 한 여인에 대한 집요한 스토커적인 느낌마저 들게 하며, 변질된 ‘미국의 꿈’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개츠비가 어떻게 ‘위대’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그 이유가 사뭇 난해하기까지 하지만, 적어도 꿈과 환상을 순수하게 간직하고 그것을 성취하기 위해 온갖 희생을 무릅쓴다는 면에서 작가는 개츠비가 ‘위대하다’라고 보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끝으로, 작가의 여성에 대한 다소 비하적인 시각에는 조금 불편함을 느낀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주요 여성은 주인공 개츠비가 사랑하는 데이지와, 데이지의 남편 톰의 정부인 머틀 윌슨이다. 데이지는 전쟁터로 사랑하는 연인 개츠비를 떠나보내지만, 곧 돈 많은 톰과 결혼한다. 그 후 여성 편력이 많은 남편 톰에게 머틀 윌슨이라는 정부가 있는 것을 알면서도 물질적 풍요와 안락함의 늪에 빠져 톰의 곁에 계속 머무른다. 옛 애인 개츠비가 돈 많은 부호가 되어 다시 나타났을 때 그에게 잠깐 호감을 느끼지만, 자신이 모는 자동차로 남편의 정부 머틀 윌슨을 죽게 한 후, 그 책임을 개츠비에게 고스란히 전가시키고 아무런 양심의 가책도 느끼지 않고 개츠비의 곁을 떠나 톰과의 일상으로 돌아간다. 데이지의 남편 톰의 정부로 등장해서 데이지가 모는 자동차에 치여 사망하는 머틀 윌슨의 삶은 비참하기 그지없다. 작가는 개츠비의 영원한 연인 데이지를 돈밖에 모르는 속물이자 파렴치한 요부로 그려 놓았고, 머틀 윌슨도 부도덕한 정부로 그려 놓았다. 작가는 개츠비를 한없이 ‘위대’하게 만들기 위해 등장하는 주요 여성들을 그의 주변에 타자화시켜 모두 먼지같이 하찮은 존재들로 만들어버렸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