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4호] 우리학교 지방대학특성화사업 계획안 4월 중 확정
교육부의 지침에 따른 학내 구조개혁과의 연계
발행 : 2014. 3. 31.
지난 2월 5일, 교육부는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지방대학의 경쟁력을 살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된 이 사업은 ▲지역경제 활성화 ▲특성화 분야 육성 ▲창조 경제 ▲교육과정 변화 초점 ▲대학서열 타파 ▲구조개혁과 연계를 목표로 하여 진행되며, 향후 5년간 총 1조원 이상이 지방대학에 투자된다. 사업은 ▲대학 자율 유형 ▲국가 지원 유형 ▲지역 전략 유형으로 나뉘어 지원되는데, 이 때 지원 경쟁은 각 권역별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 대학을 대‧중·소규모로 구분하여 그 규모별로 사업단 수 및 예산총액에 제한을 둔다.
우리대학의 특성화 사업단 후보 선정결과(‘14.3.11자)에 따르면, 대학자율 3후보, 국가지원 1후보, 지역전략 1후보가 채택되었다. 대학자율 사업단 후보는 각각 ▲5-Star Quality Teacher 양성사업단(초등교육과) ▲미래창조 과학교사 양성사업단(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교육과)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수학 및 컴퓨팅 통합적 사고 교육 사업단(수학·컴퓨터교육과)이며 국가지원 사업단 후보로 ▲Art Edu-WeNovation 2030 사업단(미술교육과), 지역전략 사업단 후보로 ▲창의적 교육인재 양성을 위한 학부교육 특성화 사업단(교육학과)이 선정되었다. 사업단의 정식 명칭과 지원비 신청액수는 3월 31일에 결정된다. 학교 측의 총 사업 계획안은 4월 중 확정되며, 교육부 지원에 대한 선정 결과는 6월에 발표된다. 사업이 채택되었을 시 지원받은 사업비의 70%는 각 사업단에, 30%는 대학본부에 배분된다.
한편,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과 연계돼 있는 학부 구조개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입학자원 규모와 학령 인구 감소를 고려하여 ‘23학년도까지 대입 정원을 16만명 감축시키겠다는 교육부의 정책이 결정되었고, 그 첫 번째 평가 주기인 1주기(’14~‘16)가 도래했기 때문이다. 정부의 재정을 지원받기 위한 특성화 사업평가에서의 가산점은 각각 학과통폐합 계획 2점, 입학정원 감축 최대 5점이다. 기획처장 양일호(초등교육) 교수는 이에 대해 “국가에서 지원받을 수 있는 사업이 한정돼 있으며 점점 줄어드는 추세이기 때문에 현재 우리는 어떤 형태로든지 국가재정사업을 지원받아야 한다. 올해는 지원비를 받을 수 있지만, 내년이 되면 강제적으로 정원·예산 감축이 실시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다른 대학들과 마찬가지로 국가 지원을 받아야하는 당위성이 있기 때문에 구조개혁을 하는 데 있어 선택의 여지가 없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아직은 그 당위성만 확정된 상태이며 감축방법과 감축인원, 통폐합 대상 학과 등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라며 정확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음을 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