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4호/교육] 미래 교육을 잇다 ① : 인터넷 속 또 다른 교실! 가상세계

2022-03-14     박민정 기자

세상은 계속해서 변하고 있다. 과거에 생각지도 못한 기술이 실현되며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던 가치들이 주목받기도한다. 세상의 변화에 발맞춰 교육도 변화하고 있다. 새롭게 등장한 기술을 교육에 활용하며, 새롭게 떠오른 가치에 대해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교육은 과거에서 미래로 사람들을 잇는다. 변화하는 교육을 잇는 다양한 이야기를 소개할 미래 교육을 잇다’, 가상세계로 그 첫걸음을 내딛는다.

 

메타버스가 교육에?

메타버스는 초월을 의미하는 ‘meta’세상, 우주를 의미하는 ‘verse’의 합성어이다. 메타버스는 아바타를 이용해 게임이나 가상현실을 즐기는 것을 넘어 가상세계에서 현실 세계와 같이 사회·경제·문화 활동을 즐길 수 있다. 메타버스는 증강현실’, ‘라이프로깅’, ‘거울 세계’, ‘가상세계로 나뉘는데, 그중에도 가상세계는 가상공간에서 현실 세계를 공유하여 확장하는 것을 이른다.

코로나19가 발발한 이후 작년 한 해 메타버스는 비대면 산업의 핵심으로 떠올라 수많은 관심을 받았다. 교육계에서도 메타버스를 이용한 다양한 시도가 이어졌다. 건국대학교, 숭실대학교 등 수많은 대학교에서 메타버스 축제를 진행했으며 이투스, 웅진 씽크빅 등 사설 교육업체에서는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을 런칭했다.

 

게더타운을 이용하여 토론 수업을 진행하는 모습 (사진 / 장야초등학교 한준구 교사 제공)

 

학교에서 집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잇는 메타버스!

메타버스를 교육에 도입하려는 시도는 학교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20203월부터 메타버스 플랫폼 게더타운을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충청북도 옥천군 장야초등학교 한준구 교사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Q. 수업에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저는 게더타운을 작년 3월 초, 처음 사용했어요. 이전까지 화상 수업으로 온라인 수업을 운영했는데, 온라인에서 링크나 파일로 자료를 제공할 때 정리하기 어렵고 학생들에게 잘 전달되지 않는 것 같아 한계를 많이 느꼈어요. 교실에서 에듀테크를 사용할 때도 학생들에게 사이트 주소를 알리거나, QR코드를 스캔하도록 할 때 학생들에게 일일이 안내해야 해서 시간 낭비가 매우 심했고요. 그래서 자주 사용하는 에듀테크 사이트들을 모아두고 캐릭터 형태로 들어가서 실행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게더타운을 이용하게 되었어요.

 

Q. 게더타운을 이용하여 어떻게 수업을 진행했나요?

국어, 수학, 사회, 미술 등 대부분의 수업을 게더타운을 이용하여 수업을 운영했어요. 예를 들어 국어 교과에서 토론 수업을 할 때, 먼저 1차시로는 글쓰기 수업을 해요. 그리고 토론 수업으로 넘어가 게더타운에서 토론을 진행했어요. 토론 방을 따로 만들어 왼쪽은 찬성’, 오른쪽은 반대로 두고 학생들이 각 영역으로 가 토론을 진행하는 거죠.

사회 교과 같은 경우에도 우리 고장을 조사하고 어떻게 하면 살기 좋은 고장이 될지 등에 대한 수업을 게더타운에서 진행했어요. 먼저 옥천 지도를 띄우고, 학생들이 살기 좋은 옥천을 만들기 위한 아이디어를 적게 한 뒤, 그 아이디어를 실현할 공간을 연결해서 조성하는 거죠. 어떤 학생은 방탈출 카페를 넣고 싶다고 해서 지도에 방탈출 맵을 연결해보기도 했어요. 이렇게 수업을 진행하니 아이들이 자신이 고장을 발전시키는 데 직접 관여를 했다고 생각하면서 (지역에 대한) 소속감을 느낄 수 있게 되어 좋았어요.

 

Q.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수업할 때의 수업 효과는 어떤가요?

일단 학생들이 엄청 적극적으로 참여해요. 보통 모둠 활동을 할 때 한두 명이 거의 다 하고 남은 아이들은 옆에서 응원하잖아요. 하지만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하니 학생들이 전보다 훨씬 적극적으로 활동하더라고요. 활동에서도 평소보다 더 다양한 의견이 나왔어요. , ·오프라인 수업을 연결할 수 있어요. 오프라인 수업에서 사회 지도 조사하기 이런 걸 학교에서 배워도 집에 가면 까먹잖아요. 하지만, 메타버스를 이용하면 집에서도 온라인에 들어가 하고 싶은 활동들을 그대로 할 수 있어요. 학교에서의 배움이 집으로 이어지는 거죠.

 

Q. 메타버스를 활용한 수업의 한계가 있다면 무엇인가요?

초기에 게더타운을 이용할 때 서비스가 안정적이지 않아 접속에 문제가 많았어요. 학생들에게 수업 플랫폼을 활용하는 방법을 따로 교육해야 하기도 했고요. , 학교에서 스마트 기기가 많이 확보되어 있어야 해요. 메타버스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잘 조성되어 있지 않다면 메타버스를 활용한 수업이 어려워요.

 

Q. 메타버스를 이용한 수업을 계획하고 있는 예비교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

메타버스를 사용하기 전에 어떤 수업을 하고 싶은지 먼저 생각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사과를 깎는 데 회 써는 칼이 필요한 건 아니잖아요. 그래서 어떤 수업을 하고 싶은지 잘 계획하고 거기에 맞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해요. 환경 조성자로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할지, 어떻게 하면 교육 환경을 긍정적으로 조성할 수 있을지 진지하게 고민하는 것이 먼저인 거죠. 그러고 나서 상황에 맞는 적절한 수업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필요해요.